AWS 시작하기
AWS를 이용해서 개발서버를 구축해보는 과정을 한번 정리해보려 합니다.
일단 AWS는 첫 사용자들을 위한 프리티어 제품을 제공하는데, 이거 때문에 꽤나 사용자 유입이 있는 것 같아요
→ 12개월동안 30GB 한정으로 무료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해 줍니당 (개꿀)
저도 처음으로 서버 구축을 해본거라 많이 버벅였던거 같아서, 한번 풀어볼겸 정리해보았습니다 시작 해보겠습니다.
1. AWS 회원가입
사실 회원가입은 일반 회원가입과 별 차이가 없다. (그래서 어렵지 않게 회원가입은 후딱 해주면 됨)
뭐,,, 물어보는거 적어주고, 주소 알려주고 보증금과 같은 카드 정보 들만 입력해주면 된다
2. 리전 변경하기
오른쪽 상단 탭에 지역을 선택하고 변경할 수 있다.
→ 리전을 변경하면, 서버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저 리전 코드값 (ap-northeast-2)을 가지고 도메인을 조합해 생성한다.
3. 인스턴스 생성하기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서버를 생성해서 사용해야 한다. → 나는 서비스 중, AWS의 대표 서버 호스팅 솔루션 중 EC2를 사용했다.
콘솔 홈으로 들어가서 스크롤을 내리다보면 솔루션 구축이라는 메뉴가 있다.
여기서 가상 머신 항목이 있는데, 클릭해보면 인스턴스 시작 으로 이동한다.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EC2 구성을 진행한다.
이름 및 태그
- 내가 생성할 서버 별명(?), 별칭(?) 을 넣으면 된다.
어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
- 내가 생성할 서버 인스턴스 환경으로 어떤것을 사용할지 선택하면 된다.
- 일반적으로 AWS에서는 Amazon Linux 를 많이 쓰기도 하고, 정보도 그만큼 많다 (난 이걸로 선택)
- 프리티어 사용가능 함을 확실히 판별해야 한다.
- 프리티어가 아닌걸 사용해보지 않았으나, 과금이 발생할것 같음,,
인스턴스 유형
- t2.micro가 기본적으로 잡혀있는데, 그냥 이걸로 사용하면 될 듯 하다.
- 그 외 다른것은 프리티어가 아님;;
키페어(로그인)
- 키페어는 내가 인스턴스 서버로 접근할 보안키 파일이다.
- 없다면 생성해야 하고, 입력하는 이름은 받을 보안키 파일명으로 작성되니 깊게 생각안하고 편하게 지어도 됌
네트워크 설정
- 네트워크 설정도 크게 없고, “위치 무관” 저것만 설정해도 된다
- 일단 모든 위치에서 접근할 수 있게 해놨는데, 추후에 접근 네트워크 조사해서 따로 설정할 예정
스토리지 구성
- 내 서버 크기를 정해놓는 것이다.
- 30GB 제공해준다 했으니 8GB → 30GB 변경해서 사용 중
고급 세부 정보
- 마지막에 있긴한데, 진짜 아무것도 안건드림
- 정말 아주 나중에 과금을 하게되서 과금을 하게 되면 딥하게 설정해보고 싶음
인스턴스 시작
- 오른쪽 사이드바에 내가 설정한 인스턴스 내용 그대로 미리보기가 나옴
- 잘 확인되었으면 인스턴스 시작 누르면 됌
이러면 이제 인스턴스 생성까지 완료
내용이 많고 워딩이 제법 생소하지만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음
4. 인스턴스 조회하기
인스턴스 항목에 들어가면 내가 생성한 인스턴스를 확인할 수 있다.
→ 클릭하면 더 자세히 볼 수 있음
5. 서버 접근하기
생성한 키 페어 파일이 위치한 곳을 알아야지 서버에 접근할 수 있다.
→ 나는 MAC 환경 기준으로, root에서 .ssh
디렉토리에 해당 키 페어 파일을 이동시켜서 사용했음
아래의 명령으로 서버에 접근할 수 있다.
ssh -i {key pair.pem 위치} ec2-user@{퍼블릭 IPv4 주소 or 도메인}
- AWS에서는 ec2-user 라는 계정이 마스터 계정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