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xi에서 VM 생성하기
esxi를 이용해서 개인 서버 하나 구축해보려는데 꽤나 고생했었어서 나름대로 정리해보기 위해 글을 작성하기로 했다.
참고로 esxi 버전은 8.0으로 구축했고, 맥에서는 esxi의 iso 파일이 인식을 못하므로 꼭 윈도우에서 os 설치파일을 만드는게 정신건강에 좋다.
맥에서 명령어를 통한 설치파일 방법이나, etcher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이것저것 다 해봤는데 다 안되었고 윈도우 환경에서 rofus를 이용한 방법으로 다이렉트로 해결됨
사전 설정
이미 esxi를 구축해놓았다면 딱히 사전 설정이라고 할 건 없는데,
구축한 호스트에 접속해서 가상 시스템 → VM 생성/등록 을 누를 준비만 하면 된다.
참고로 이것저것 테스트 해볼 rocky 환경의 리눅스를 구축해놓은 상황이다. 하지만 하나 더 VM 생성하는 과정을 기록 해볼 예정.
VM 생성해보기
VM 생성/등록 버튼을 클릭해서부터 시작해서 하나씩 설정해보자
1. 생성 유형 선택
당연히 새 가상 시스템을 생성할 것이기 때문에, “새 가상 시스템 생성”을 선택하고 다음으로
2. 이름 및 게스트 운영 체제 선택
이름은 그냥 내가 생성할 VM을 구별할 네이밍이라 생각하면 되고, 호환성은 디폴트로 설정된 ESXi 가상 시스템 으로 선택했다.
이후, 설치를 원하는 OS 운영체제 및 버전을 선택하여 다음으로.
3. 스토리지 선택
그리고 스토리지 선택하는데 나 같은 경우 총 공간은 337GB 정도이고, 사전에 생성한 VM (초기에 보았단 rocky linux)이 40GB 정도로 먹고 있어서 사용가능한 공간이 그 차이만큼 나와있다.
만약 디스크가 나처럼 단일이 아니고 다중 디스크라면 저 리스트가 더 나올 것이다.
4. 설정 사용자 설정
진짜.. 여기에서 시간을 많이 먹었다. (무한 VM 생성, 삭제의 원인 과정,,,)
4.1 가상 하드웨어 탭
- CPU, 메모리, 디스크 모두 생성하고자 하는 VM의 사양을 입력
- SCSI 컨트롤러는 default로 설정된 “VMware Paravirtual” 선택
- USB 컨트롤러는 사용 영향도가 적으므로 기본값 (2.0) 선택
- 네트워크 어댑터도 기본값으로 사용 (VM Network)
- CD/DVD 드라이브
- 호스트 디바이스: ESXi에서 제공하는 iso을 사용한다. 하지만 해당 값으로 생성하면
Operating System not found
문구가 반복되면서 OS 설치가 안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 데이터스토어 iso 파일: 로컬pc에서 설치한 iso 파일을 사용하여 OS 설치를 진행한다. 공식 iso를 업로드해서 사용하면 이슈 없이 사용할 수 있다.
- 호스트 디바이스: ESXi에서 제공하는 iso을 사용한다. 하지만 해당 값으로 생성하면
- 비디오 카드는 기본 설정으로 사용
4.2 VM 옵션 탭
VM 옵션은 다양하게 있지만 전부 기본값으로 설정해도 이슈는 없다.
다만, 나는 펌웨어는 BIOS 대신 EFI로 사용했다.
BIOS는 현재 레거시로 표현되고 있으며 x86 16비트의 플랫폼 의존적이다. 기왕이면 최신이 좋지 않겠는가
마지막으로 내가 설정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완료하면 된다.
이제 마음껏 서버를 이용해 해볼 수 있다.